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통나무비계
- 코로나바이러스
- 드라마후기
- 초등학교개학연기
- 질량퍼센트
- 코로나
- 산업안전기사
- 개강연기
- 중학교개학연기
- wt%
- 위드코로나
- 틀비계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 무게조성비
- 고등학교개학연기
- 개강연기연장
- 단관비계
- 질량백분율
- 학원휴원
- 산업안전산업기사
- Parts Per Million
- 런온
- 코로나학원휴원
- 달대비계
- weight percent
- 우한폐렴
- 농도단위
- RUNON
- 달비계
- 말비계
- Today
- Total
A lot in a day
[전기화재의 원인] 단락, 누전, 스파크 등 전기화재의 원인들! 본문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기.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에어컨, 냉장고 등
생활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물건들은
바로 '전기'로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원전 600년 경,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가
보석 호박을 헝겊으로 닦다가 우연히 정전기를 발견하게 됩니다.
그로부터 시작된 전기의 역사는
현대문명으로 접어들면서 눈부시게 발전했답니다.
이렇게 편리한 전기.
하지만 자칫 잘못 사용하면 목숨을 앗아갈 만큼 위험합니다.
대표적으로 감전, 화재와 같은 재해가 있습니다.
콘센트를 잘못 뽑거나 멀티탭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서
손이 따끔거리거나 지잉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없다면 겨울철 자동차 손잡이나
물건을 집어들 때 팍! 하는 정전기를 경험해보신 적은 있을 겁니다.
생활하면서 생기는 사소한 전기의 위험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공장, 작업장, 기계 등으로부터 발생한 위험은
자칫 대형사고나 중대재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화재의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전기화재 원인으로는 단락, 누전, 과전류, 스파크, 낙뢰 등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전기화재 원인을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
1. 단락
단락이란 합선과 유사합니다.
단선, 단수 등의 끊을 단(斷)이 아니라 짧은 단(短)이어서
끊어졌다는 의미로 생각하기 쉽지만 끊어진 건 아닙니다.
전류는 연결된 전선이나 요소에 따라
흘러가야 하는데 중간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여
전선이 합선될 경우 회로의 구성이 짧아지게 됩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저항체를 거치지 않아
회로의 저항이 0이 될 경우
전류가 과하게 흘러 과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전기화재의 사고로 이어지게 됩니다.
2. 누전
누전이란 전선이나 기기에서 전기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새어나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누전상태가 되면 기기는 제대로 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없고
그로 인해 오동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자가 사용자가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하면
감전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누전은 감전뿐만 아니라 스파크, 폭발 등의
큰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는 현상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가 대부분의 가정이나 건물에 구비되어있어
누전차단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누전으로 인한 감전, 전기화재의 위험은 크게 줄었습니다.
그럼에도 누전은 매우 위험한 전기 화재의 원인이므로
항상 유의하여야 합니다.
3. 과전류
과전류란 전압이나 전류가 급격하게 혹은 순간적으로 상승하거나
낙뢰 등에 의해서 과다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자기기 등에 과전류를 공급하면
기기의 파손,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합니다.
그로 인해 전기화재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자기기나 제품, 기계에 전기를 공급할 때에는
항상 주의하여야 합니다.
노트북과 같은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제품에는
정해진 입출력 전압이 제품마다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력이 조금 필요한 사무용 노트북에
많은 전기를 투입시키는 게이밍 노트북의 파워 어뎁터를 연결하면
노트북에 과전류가 흘러 파손, 오동작을 초래하므로
잘 살펴보고 사용해야 합니다.
4. 스파크
불꽃이라는 영어단어의 스파크(Spark).
단어의 뜻처럼 스파크는 전기화재의 원인입니다.
금속으로 된 돌이나 금속을 부딪히면 스파크가 발생합니다.
스파크는 불을 피워 낼 수도 있는 현상입니다.
이런 스파크는 앞 서 설명한 단락의 전기 합선과 같은 상황에서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스파크 역시 전기화재의 원인입니다.
5. 접촉부 과열
단락, 과전류 등으로 인한 과열은 전기화재를 발생시키는 원인입니다.
접촉부 과열 역시 전기화재의 원인인데요.
전기가 통하는 전선이 이어지는 단락, 합선이나
차단기나 스위치 등에 연결된 저항에서
높은 수준의 열이 발생하면 역시 화재로 이어집니다.
6. 낙뢰
낙뢰란 뇌전 현상의 일부로 구름으로부터 지면으로의 방전현상입니다.
하늘에서 우르르쾅쾅하고 치는 번개가
지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낙뢰라고 합니다.
번개의 빛이 통과하는 곳의 공기는 순간적으로
3만 도씨나 올라갈 만큼 순간적으로 큰 열을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낙뢰는 정전, 화재, 파괴를 비롯한 인명피해까지 발생시킬 만큼
큰 에너지와 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연현상인 만큼 어쩔 수 없는 재해를 방지할 수는 없지만
낙뢰 방지 장치를 통해 피해를 줄이거나
파뢰기의 설치로 낙뢰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현대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전기!
안전하게 사용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에너지이고
전기가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편리합니다.
하지만 고압의 전기는 중대재해나 대형사고를 비롯한
인명피해까지 발생시킬 수 있는 만큼
안전한 사용이 필수겠죠?
'In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계의 종류] 말비계, 달비계, 달대비계의 구조와 특성 (Feat. 산업안전) (2) | 2020.02.29 |
---|---|
[폭발 위험장소] 0종, 1종, 2종부터 분진폭발위험장소까지 알아보자 (0) | 2020.02.25 |
[센서의 종류와 정의] 센서에 대해서 알아보자! -1편- (0) | 2020.02.22 |
[선반의 안전장치] 쉴드, 칩 브레이커, 척 커버, 브레이크에 대해서! (0) | 2020.02.19 |
[산업안전(산업)기사] 무재해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규정, 의의와 시험에 나오는 내용 (0) | 2020.02.18 |